728x90
반응형
SMALL

WorkWork 8

[직장인의 글쓰기] 핵심요약하여 보고하기 (Executive Summary)

[직장인의 글쓰기] 핵심요약하여 보고하기 (Executive Summary) 제목을 간결하게 한다. 각 분야를 단락으로 구분한다 중요한 정보는 강조 표시를 사용한다. 주요 내용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차트나 그래프를 사용한다. 공백이나 부제목을 사용하여 페이지가 단조로워 보이지 않게 한다. 사업개요 (Executive Summary) 작성방법 By 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Center for Entreprenurial studies 투자를 받기위한 사업계획서 제안 투자를 받기 위한 사업계획서를 제안하기 전에 다음 리스트에 있는 것들을 만들어야 한다. 1. 사업개요 (Executive Summary *직역하면 간부용 요약본) : 최초 제안을 할때는 두 페이지 ..

[직장인의 글쓰기] 개조식 문장이란?

[기획자의 글쓰기] 개조식 문장이란? 우리나라 행정기관의 보고서, 공문서, 행정문서에서 나타나는 문장의 대부분은 개조식 문장이라고 한다. ​ 개조식 문장이란 내용을 길게 서술하지 않고 중요한 키워드 중심으로 핵심만 간추려서 기술하는 표현의 방식으로 이렇게 작성하면 문서를 보다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고 전달차원에서도 핵심요점만이 부각되어 의미 전달 속도도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 그러나, 이러한 개조식 문장은 행정기관끼리의 소통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으나 비행정기관과의 소통 그리고 행정기관이 반드시 소통해야 하는 국민과의 소통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핵심사항만을 간추려서 전달하기 때문에 이미 해당 문서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문제가 없겠지만 전혀 해당 문서에 대한 지식이 없을..

[직장인의 글쓰기] 보고서 잘쓰는 방법; 보고서 작성의 비급

[기획자의 글쓰기] 보고서 잘쓰는 방법; 보고서 작성의 비급 ​ ​ 잘된 보고서란 무엇일까 잘 쓴 보고서의 특징 1. 예리하다: 문제의 핵심을 정확히 진단, 분석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 2. 시원스럽다: 전체적으로 체계적이고 깔끔하며 논리적 일관성이 있음 3. 정확하다: 사실관계가 명확하고 내용전반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임 4. 힘이 넘친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신감과 가치관, 방향이 살아있음 5. 쉽고 편안하다: 대화하듯이 막힘이 없음 6. 변화감이 있고 재미있다: 변화를 주고 있고 사례, 통계 비유 등을 통해 재미있게 구성 ​ 잘못된 보고서? 잘 못 쓴 보고서의 특징 1. 초점이 흐리다: 읽을수록 문제가 복잡해지거나 판단을 어렵게 함 2. 골치가 아프다: 산만하고 난해하며 일정한 지향성이 없음 3. 알맹..

[직장인의 글쓰기] 직장인, 이메일 잘 쓰는 꿀팁 7

직장인, 이메일 잘 쓰는 꿀팁 7 [기획자의 글쓰기] 직장인, 이메일 잘 쓰는 꿀팁 직장인의 업무는 이메일에서 시작되어서 이메일로 끝난다. ​ 모든 직장인이 어제도 이메일을 보냈고, 오늘도 이메일을 보냈으며, 내일도 이메일을 보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신입사원이 회사에 입사에 처음으로 하는 일도 인사 이메일이고 퇴사할 때 마지막으로 쓰는 것도 이메일이다. 요즘은 업무용 메신저 스타일의 협업툴의 사용으로 이메일을 쓸 일이 확실히 줄기는 했지만 아직도 오피셜 포맷은 이메일이다. 많은 대기업 특히 기획쪽에서는 신입사원에게 하는 첫 교육이 보고서 쓰기도 아닌 비즈니스 이메일 쓰는 방법일 정도로 이메일 쓰기는 중요하다. 직장인, 이메일 잘 쓰는 꿀팁 회사에 이미 잘 쓴 이메일의 예시가 있다면 반드시 참고할 것,..

[상품기획자의 일] 상품기획 프로세스

[상품기획자의 일] 상품기획 프로세스 상품기획의 본질은 시장이 원하는 제품을 컨셉화하는 것입니다. 시장이 원하는 즉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제대로 된 제품을 기획하는 일입니다. 상품기획은 연구, 개발부서와 시장과의 접점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제품을 고민하여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시장에서 성공적인 제품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고객의목소리, VOC (Voice of Customer)를 반영해야하고 이것은 해당하는 세부 프로세스를 거쳐야 합니다. VOC 반영 프로세스 1. 마켓 센싱 : 시장상황 및 고객정보 분석을 통해 Market Intelligence를 도출하여 투자를 위한 기회 분석 2. 사업 계획 : 포착된 시장 기회에 대한 전략(STP, 4P, 4C 분석 등)을 수립 3. 상품 기획 : 상품전략..

[상품기획자의 일] 제품과 상품의 차이 그리고 가격

[상품기획자의 일] 제품과 상품의 차이 그리고 가격 상품기획자의 일이라는 글을 쓰는 이유는 긴 시간 동안 기술 기반 제조업 상품기획 일을 해오면서 느꼈던 한 가지 사실 때문입니다. ​ 생각보다 마케팅 영역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분야이며 심지어 상품기획 업무가 개발이나 연구소의 영역으로 편입되어 있는 조직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반도체 영역이 그렇습니다). 조직이 어느 곳에 속해 있든 하는 일은 크게 다르지 않고 마케팅 4P의 가장 처음 언급되는 것이 Product 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상품기획자로 살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질문 두 가지 1. 상품과 제품의 차이가 뭔가요? (주로 상품기획을 모르는 사람들로부터) 2. 이 상품, 컨셉한 대로 나왔나요? (주로 상품기획을 아는 사람들로부터) ..

[상품기획자의 일] 서비스 가격 결정을 위한 요소

[상품기획자의 일] 서비스 가격 결정을 위한 요소 ​ 가격 결정의 원론적인 이야기는 이다. ​ 가격 결정의 요소들 - 서비스의 BM자체에 대한 고민 - B2B or B2C - value proposition - ‘비타민’ 서비스 or ‘진통제’ 서비스, - 이 서비스가 얼마나 크게 성장할 수 있는지 등 ​ 수 많은 요소를 따져 가격 책정을 하고, 일단 가격 책정을 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A/B 테스팅 등을 통하여 가격을 수정해 나가야 한다. ​ 즉 위의 요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해보면, B2B, B2C 어느 경우이든지 평균적으로 수용가능한 가격 수준이 파악된다. 이를 전체 유료로 할지, freemium으로 제공할지, 가격대를 몇 개의 tier로 할지 등, 전반적인 가격 체계는 다양한 A/B 테스트를 통..

[상품기획자의 일] 상품기획과 상품 /서비스 로드맵 (PRM, Product Road Map)

[상품기획자의 일] 상품기획과 상품 /서비스 로드맵 (PRM, Product Road Map) ​ 상품기획은 갑자기 어느 한 순간 ‘이 상품을 기획해 봐야지’ 하는 영감으로 출발하지 않습니다. 상품기획의 주요 근거는 상품/서비스 로드맵입니다. 주로 연초에 또는 분기에 전사의 구성원들(주요 임원진)이 모여 로드맵 회의를 하게 됩니다. 이때 이사회에서 결정된회사의 목표에 맞춰 상품/서비스 로드맵이 확정되고 각 상품 출시 일정을 역산하여 기획 준비작업을 시작한다고 보면 됩니다. ​ 보통 로드맵을 회사의 비전이나 목표가 담기 전사 로드맵이 먼저 작성되고 그에 따라 매출 목표, 기술 목표 등을 고려하여 상품/서비스 로드맵을 그리게 됩니다. 제조 기반, 연구 기반의 회사라면 상품의 차별화 요소를 덧붙이기 위해 선행..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