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헬스케어 19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 ACOs) 알아보기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 ACOs) 알아보기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 ACOs) ? 보험자와 의료공급자가 양(volume)에서 가치(value)로 전환함에 따라 헬스케어 지불보상 프로세스는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이해당사자가 현재 많은 상이한 가치 기반 케어(value-based care) 모델을 시험하고 있지만, 책임케어조직(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 ACOs)은 현재까지 가장 인기있고 성공적인 전략 중 하나이다. ACOs는 불필요한 서비스 이용과 의료 과실(medical errors)을 피하면서 환자 케어를 조정하고 올바른 케어를 올바른 시점에 제공하기로 합의한 병원, 의사 및..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가치기반케어 (Value Based Care), 2020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가치기반케어 (Value Based Care), 2020 [미국의료제도] 가치기반케어 (Value Based Care), 2020 미국의 주(state)별 가치기반 케어(Value-Based Care, VBH)의 진행 상황 미국은 주(State)별로 가치기반 케어(Value-Based Care, VBC)와 지불보상 개혁(payment reform)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메디케어가 분명히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영향력 있는 프로그램인 반면, 주정부는 지역 헬스케어 시장에 대한 중대한 권한을 갖고 있으며 헬스케어를 가치로 전환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디케이드는 21%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보험급여를 제공하며, 고용주 기반 보험보장(employer-based coverage..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Anti Kickback statue 2019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Anti Kickback statue 2019 [미국의료제도] Anti Kickback statue 2019 미국 보건성, 가치기반 보건의료 강화를 위한 Stark Law와 반뇌물법령 개정 2019년 10월 9일 미국 보건성(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은 의사 자기의뢰법(Physician Self-Referral Law, "Stark Law")과 연방 반뇌물 법령(Federal Anti-Kickback Statute)을 해석하는 규정을 현대화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한 변경 제안을 발표했다. 제안된 규칙은 가치기반 계약(value-based arrangements)에 참여하고 환자를 위한 조정된 케어(coordinated car..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Anti Kickback Statue, 2018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Anti Kickback Statue, 2018 [미국의료제도] Anti Kickback Statue, 2018 ​ 미국 보건성, 가치기반 보건의료 실행을 위한 반뇌물 법령과 수혜자 유도 민사벌금형에 관한 정보 요청 미국 보건성(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은 헬스케어시스템에서 '가치에 대한 지불(pays for value)'을 더 잘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케어 조정(care coordination)은 가치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케어 조정에 불필요한 정부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은 HHS의 핵심 우선 순위이다. 케어 조정을 포함한 가치기반시스템(value-based system)으..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MSO (Management Services Organization) 란?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MSO (Management Services Organization) 란? MSO (Management Services Organization) ​MSO는 미국의 관리의료(managed care)에 서 병의원들의 경영지원을 위해 설립된 회사들이다. 미국 시장의 경우 병원운영 회사가 여러 개의 병원을 소유하고 경영하고 있으며 많은 병원 또는 병원 운영 기업이 증권 시장에 상장이 가능하다. 보통 미국의 대학병원급에서 의료행위와 관계없는 병원경영전반(구매, 인력관리, 진료비 청구, 마케팅, 홍보 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회사를 말한다. 대표적인 MSO 모델로는 미국의 HMO(Health Maintenance Organizaton: 건강관리의료단체)를 들 수 있는데 HMO는 ..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코딩시스템(coding system)과 진료비 지불코드 : ICD-10 , HCPCS, CPT Code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코딩시스템(coding system)과 진료비 지불코드 : ICD-10 , HCPCS, CPT Code 미국의 코딩시스템(coding system)과 진료비 지불코드 : ICD-10 , HCPCS, CPT Code 미국은 코딩시스템(coding system)을 기반으로 진료비 지불코드를 관리하고 있으며, ICD-10, HCPCS(Healthcare Common Procedure Coding System)을 사용하고 있다. ICD-10 - ICD-10: ICD-10-CM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10th edition, Clinical Modification & ICD-10-PCS; International Classificati..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가치 기반 의료(Value Based HealthCare)'란 ?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가치 기반 의료(Value Based HealthCare)'란 ? 미국의 '가치 기반 의료(Value Based HealthCare)'란 무엇인가 ​ 의료비 줄이고 환자 치료결과 향상, 의료서비스 공급자는 행정 부담 증가 부작용도.. "국가별로 가치기반 의료 전환·속도 달라… 분명한 근거 마련해야 지불시스템 개편 성공" 가치기반 의료 개념과 지불제도 개편, 미국의 경험 미국의 '가치 기반 의료(Value Based HealthCare)'란 무엇일까. 가치의 개념은 바라보는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병원은 수익을 높이고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의료기술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의사는 환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때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환자는 장기 입원을 ..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미국의료제도: ACO(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란?

[헬스케어]미국의료제도: ACO(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란? 1. ACO(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책임의료기관)는 미국 오바마 정부의 의료개혁과정에서 등장한 새로운 지불방식 2. 지불방식의 변화를 통해 의료공급체계의 재조직화와 의료전달체계의 강화를 동시에 의도하고 있는 복합적인 정책 묶음 3. ACO는 수요자 중심의 지불제도로써 취약한 노인이나 만성질환 관리에 적합하며, 일차의료 의사가 지역사회 수준에서 예방과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ACO는 변형된 총액수가제도 ACO(Accountable Care Organization)는 미국 오바마 정부의 의료개혁과정에서 등장한 새로운 지불방식으로..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미국의 처방전 리필제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미국의 처방전 리필제 미국의 처방전 리필제 처방전 리필제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처방전을 재사용해 의약품을 처방받을 수 있는 제도로 만성질환자의 경우 의사의 별도 진찰 없이 원무과 등 보조 인력 등에 의해 처방전을 갱신해주는 것이 대체적인 방식으로 각 나라마다 처방전 재사용 횟수와 기간, 종류 등은 조금씩 다릅니다. ​ 미국의 경우 지난 1980년대 대부분 병원과 약국의 전산시스템이 구축되면서 리필제 운영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환자가 처방전 재발급, 리필 등을 요청하거나 투약관련 문의를 해오면 의무기록실과 원내약국에서 임상약사에게 이를 전달하고 환자에게 처방될 수 있도록 하는 식입니다. 미국의 경우 처방전이 refill이 가능한데(의사의 판단 하에, 보통 만성질..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PBM (Pharmacy Benefit Management)이란?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PBM (Pharmacy Benefit Management)이란? Pharmacy Benefit Management(PBM) BM은 단어 그대로 ‘약과 관련된 베네핏을 관리’하는 것이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약국, 보험회사 및 제약회사에서 다루는 처방약 관련 비용을 최적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환자가 부담해야 할 비용을 줄이고 그로 인해 질환 관리에 대한 ‘quality’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입니다. ​ PBM은 미국 의료시스템의 “middle man” 역할을 함으로써, 각 stakeholder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그 수수료를 받으며 이익을 창출합니다. 처방약 관련 비용을 ‘최적화’한다는 것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 사이에서 어느 한쪽이 아닌, 균형잡힌 이익을 제공..

Healthcare 2023.04.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