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헬스케어 19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CPT 코드 (Current Procedure Terminology, CPT Code)를 알아보자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CPT 코드 (Current Procedure Terminology, CPT Code)를 알아보자 CPT 코드 (Current Procedure Terminology, CPT Code)를 알아보자 ​CPT 코드 ? CPT 코드는 미국 의사 협회(AMA)에서 만드는 의료 행위 코드(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Code)입니다. CPT 코드는 개별 의료 행위마다 부여되는 코드로 미국에서 보험을 적용할 때 기본 단위가 됩니다. CPT 코드가 있다고 해서 모두 보험 적용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CPT 코드 없이 수가 적용을 받기는 힘듭니다. ​CPT 코드 신청 및 승인 절차 ​Current Procedure Terminology (CPT®) 코드는 의사와 의료..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미국에서 병원가기 힘든 이유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미국에서 병원가기 힘든 이유 미국의료제도: 미국에서 병원가기 힘든 이유 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주치의(Primary Care Physician) 제도가 있습니다. 일단 주치의를 만나고 진료를 받아야 상급병원에도 갈 수 있고 보험 커버도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초진은 이 주치의를 통해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 미국 주치의제도 미국의 보건의료체계는 크게 HMO로 알려진 민영보험회사나 의료공급자네트워크가 주도하는 PPO 등의 민간의료보장 시스템과 메디케어(Medicare), 메디케이드(Medicaid), 주 아동건강보험 프로그램(CHIP), 재향군인 건강관리(VHA) 등으로 국가나 주정부 주도의 의료보장 시스템으로 구분됩니다. ​ HMO와 같은 민간보험회사와 계약하고..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의료민영화 의료영리화 차이 정리해보자

[헬스케어] 의료민영화 의료영리화 차이 정리해보자 코로나19 이후, 원격의료로 뜨거운 감자가 된 의료영리화 vs 의료민영화 차이를 정리해보자. 코로나 19 사태 이후, 많은 분들이 원격의료가 도입되면 의료민영화가 실현되고 대기업의 이익 착취로 헬게이트 열린다고 염려하고 계신다. ​ 의료 민영화 또는 의료영리화가 맞다 아니다 논하기 전에 어찌 보면 상식적이지만 우리 나라 의료 체계와 이에 근거한 용어의 의미부터 간단히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이 시점에서 공부 겸 그저 몇 가지만 정리하고 싶다 의료민영화 국내에서 대부분의 병원은 민영병원이다. (아래표 참조) 전체 의료기관 병상 수에서 공공의료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기준 10%로, 2012년 11.7%보다 1.7%p 감소했다. ​ 이미 민영 병원..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 의료보험제도 를 알아보자

[헬스케어] 미국 의료보험제도 를 알아보자. 미국 의료보험제도 미국 의료보험은 크게 민영보험, 공적보험, 무보험으로 나뉜다. 전체적으로 미국 보험시장은 사보험 약 70%, 공적 보험 약 30%정도 (민영보험과 중복 포함)로 주로 노인(Medicare), 저소득층(Medicaid), 어린이(S-CHIP) 등 경제 활동이 없거나 미비한 계층에 제공됩니다. 2018년 통계에 의하면, 무보험자가 2,750만명(인구 8.5%)으로 미국 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 민영보험의 경우, 대부분 직장 고용주에 의해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형태로, 풀타임(주30시간 이상 근무) 종원원 수가 50명 미만인 경우에는 건강보험을 의무적으로 제공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50명 이상인 경우(정부제공기준)에는 2015..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미국 의료비가 비싼 이유

[헬스케어] 미국의료제도: 미국 의료비가 비싼 이유 미국의 의료기관들은 대부분 민영기관에 의해 소유되고 운영되는 민영화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의료보험 역시 국가가 아닌 민영 기업에 의해 운영되고 있어, 의료보험에 가입하기 위한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민영의료보험에 가입하려면 소득이나 개인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납부해야할 보험료는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미국인의 약 15%는 의료보장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으며, 병원비가 없어 사망하는 인구 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 미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78.6세이지만 의료비 지출은 OECD 국가 평균 (8.9%) 보다 훨씬 웃도는 16.4% (GDP 대비 경상의료비 지출 비율)입니다. 이른바 저효율 고비용 구조인데요, 미국의 의료제도와 의료보험 시스템에 대해 알..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HIPAA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헬스케어] HIPAA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는 사기와 도난으로부터 의료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6년 제정되었다. ​여기서 의료 정보는 전자 및 문서로 저장된 의무 기록 뿐만 아니라 의사와 환자 간 진료 대화 내용, 청구 및 결제 정보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HIPAA는 병원과 의사 등 의료 서비스 제공자 뿐만 아니라 보험 회사, Medicare/Medicaid 등 정부 프로그램, 청구서(claim) 처리 업체, 결제(billing) 처리 업체와 의무 기록을 저장 및 파기하는 모든 회사들에 의무적으로 적용..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메디케어(medicare)와 메디케이드(medicaid) 비교

[헬스케어] 메디케어(medicare)와 메디케이드(medicaid) 비교 메디케어(Medicare)와 메디케이드(Medicaid)는 이름이 비슷하고 정부에 의해 운영되는 공공 보험이라는 점에서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상이나 내용 등에서 확연히 다른 보험 체계이다. 이에 이 포스팅을 통해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고자 한다. 메디케어: 미국 노년층을 위한 공공보험 메디케이드: 미국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보험 ​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는 중복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즉, 두 보험 모두의 적용 대상에 포함된다면 둘 다 가입이 가능한데 이를 특별히 Dual Eligible 이라고 부른다. ​두 프로그램에 다 가입하면 메디케어가 우선 지불자 (primary paye..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HL7(Health Level7)?

[헬스케어] HL7(Health Level7)? HL7(Health Level 7)이란? ‘HL7(Health Level 7)’은 이기종 의료정보시스템 간 정보 호환이 가능하도록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1987년에 조직된 표준화 기구 동시에 의료정보의 전자적 교환에 대한 표준(de facto standard)을 지칭 한국을 포함한 세계 주요국들이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HL7’ 에서 제정된 표준을 의료분야에 적극 적용 ​ 'HL7'은 어떤 필요에 의해 개발하게 되었을까?​ HL7 개발 배경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헬스케어 서비스와 융합기술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이를 해결하고자 의료기관 및 의료소프트웨어 기업들은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

Healthcare 2023.04.17

[헬스케어]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

[헬스케어]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란? ​ 의료정보화 분야 차세대 프레임 워크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FHIR은 헬스케어의 “HTML” ​​ FHIR는 전문가들의 임상모델링에 근거하였으나 사용자들은 모든 세부사항을 이해할 필요가 없다. FHIR은 쉬운 실행력에 집중한다. - John Halamka ( Harvard 와 Beth Israel Deaconess 메디컬센터CIO ) – ​ ​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는 의료기기 간..

Healthcare 2023.04.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