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렛저널

불렛저널(bullet journal):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기록

Hello333 2023. 4. 19. 22:04
728x90
반응형
SMALL

불렛저널(bullet journal):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기록

 

불렛저널(bullet journal):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기록

- 쓰면서 하는 자기관리, 쓰면서 하는 명상

 

효율적인 스케줄 관리법 ‘불렛저널(bullet journal)’이란?

1월달만 까만 손때탄 다이어리만 여러 개, 몇 장 쓰고 버리는 스케줄러! 돌아오는 새해에는 이번 12월 연말까지 스케줄러나 다이어리를 쓰고 싶지 않나요? ‘불렛저널(bullet journal)’을 활용하면 어떤 노트라도 사용가능! 스케줄, 일기, 스터디 플래너, 식단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중한 툴이지요.

 

-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기록, ‘불렛저널(bullet journal)’이란?

 

“불렛저널은 당신의 과거를 기록하고, 현재를 정리하며,

미래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는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시스템입니다.”

– 불렛저널 고안자, 라이더 캐롤(Ryder Carroll) -

 

‘불렛저널(bullet journal)’은 뉴욕의 디자이너 라이더 캐롤(Ryder Carroll)이 만든 다이어리 작성 방법입니다. 일종의 일기장 같은 노트인데 플래너+일기+To-do list+스케치북+트래커 등을 혼합한 형태로 한 곳에 내 생활의 많은 것을 모으고 기록하고 정리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불렛저널(bullet journal)’’의 의미는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글머리 기호’를 뜻하는 불렛(bullet)을 활용하는 해서 인데요. 기호를 통해 한눈에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불렛저널(bullet journal)’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불렛저널(bullet journal)’의 디자인을 SNS에 공유하며 불렛저널은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 ‘불렛저널(bullet journal)’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취향과 상황, 환경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 나만의 규칙을 만들어가는 불렛저널(bullet journal)

 

1) 인텍스(INDEX) / 불렛 가이드(Bullet Guide)

이제 나만의 , ‘불렛저널(bullet journal)’을 만들기 위한 첫 단계-인덱스 만들기

‘불렛저널(bullet journal)’은 첫 장인 인덱스가 중요합니다. 먼슬리(montly)와 데일리(daily)의 페이지 목차와 불렛(bullet) 표시법을 적는 곳이거든요. 불렛은 예시로 보여드리는 모양 외에도 자신이 알아보기 쉽거나 필요한 모양을 만들면 되는데요. 예를 들면 X자로 완료를 표시하거나, 문장 전체에 취소선을 그어 일정이 취소됐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악을 좋아한다면 음표를 그려 넣고 그날 들었던 좋은 노래 제목을 쓸 수 있어요.

 

 

2) 월간스케줄-먼슬리(Monthly)로그

먼슬리(monthly) 왼쪽 페이지에는 한 줄로 날짜와 요일을 적습니다. 여기에 가족, 친구의 생일, 시험, 이사 등 중요한 이벤트를 적어 그달에 일어날 일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합니다. 오른쪽 페이지엔 월간 목표를 적는데요. 동아리 알아보기, 헬스 등록하기, 치과 검진받기 등 사소한 것이라도 상관없어요. 목표를 달성하면 ‘완료’로 표시하고, 필요 없다면 ‘취소’, 꼭 해야 하는 일인데 다음 달로 미뤄졌다면 다음 달에 다시 옮겨 적으면 됩니다.

 

 

3) 주간스케줄 – 위클리(Weekly)로그 또는 위클리스프레드(Weekly Spread)

위클리 로그는 한 눈에 주간 일정을 볼 수 있으며 특히 며칠 연속으로 진행되는 일 같은 경우 연속성을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합니다. 데일리 로그 대신에 사용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주간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매일매일 많은 양의 콘텐츠를 쓰기에 부담스러운 경우, Tasks/Events 가2~3개 수준일 때 사용하면 편리하지요. 또한 일년을 52주로 나누어 주 단위 패턴으로 시간을 나누어 정리하고 기록하는 경우 아주 유용합니다.

 

4) 일일스케줄 – 데일리(Daily) 로그

데일리는 위클리 뒷장부터 이어 나가면 되는데요. 불렛을 이용해 날마다 해야 할 일을 작성하고 완료 시 체크하는 방식입니다. 불렛저널 방법은 칸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공책을 자신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펜 색깔을 달리해 학교/직장 및 개인 스케줄을 구분하거나 다이어터라면 그날의 식단을 써 놓을 수 있답니다.

효율적으로 스케줄을 관리하는 불렛저널(bullet journal)! 불렛 모양을 그리거나 원하는 대로 칸을 그리기 쉽도록 모눈종이 노트를 활용하면 더욱 좋답니다.

 

5) 타임트래커 / 해빗트레커

불렛저널: 타임트래커, 해빗트레커

습관의 시각화, 생활의 패턴화

 

불렛저널(bullet journal)에 가장 큰 특징, 일반 다이어리와 가장 큰 차이점은 타임트래커 / 해빗트레커 의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 다이어리에 없는 기능입니다. 특히 월 단위, 주 단위, 주제별 등 식습관, 건강상태, 평소 습관 등을 체크해서 한눈에 내 삶을 차트로 확인할 수 있는 좋은 형식입니다. 몸무게와 건강 상태, 약 복용, 알러지, 운동 내역여성이라면 생리주기 등을 월 단위로 기록하면 유용합니다.

위의 예와 같이 주제별로 만드는 타임트래커 / 해빗트래커 와 같이 다양한 트래커가 존재합니다. 한달을 기록하는 일상타임로그, 위클리로그에 사용할 수 있는 타임트래커, 데일리로그에 활용하는 타임트래커 등 불렛저널 타임로그/타임트레커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 효율적으로 스케줄을 관리하는 불렛저널(bullet journal)!

불렛 모양을 그리거나 원하는 대로 칸을 그리기 쉽도록 모눈종이 노트를 활용하면 더욱 좋답니다. 원하는 불렛 모양이 없다면 SNS에서 불렛저널(bullet journal) 을 검색해 보세요. 다른 사람들의 불렛저널을 통해 더 좋은 방법도 습득하고, 스케줄 관리에 대한 좋은 자극제가 될 테니까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