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기획자의 일] 상품기획 프로세스
[상품기획자의 일] 상품기획 프로세스
상품기획의 본질은 시장이 원하는 제품을 컨셉화하는 것입니다.
시장이 원하는 즉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제대로 된 제품을 기획하는 일입니다. 상품기획은 연구, 개발부서와 시장과의 접점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제품을 고민하여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시장에서 성공적인 제품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고객의목소리, VOC (Voice of Customer)를 반영해야하고 이것은 해당하는 세부 프로세스를 거쳐야 합니다.
VOC 반영 프로세스
1. 마켓 센싱 : 시장상황 및 고객정보 분석을 통해 Market Intelligence를 도출하여 투자를 위한 기회 분석
2. 사업 계획 : 포착된 시장 기회에 대한 전략(STP, 4P, 4C 분석 등)을 수립
3. 상품 기획 : 상품전략과 라인업(Line-up) 프로세스를 통해 시장과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기획하는 일
4. 상품 출시 : 구체적인 유통채널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고객가치를 극대화를 위한 전략수립
상품 출시 이후의 단계는 제품화 프로세스를 밟게 된 후 PM(Product Manager)의 역할이 크게 작용합니다.
PM은 각 영업 부서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Product Specialist 로서 활동하게 됩니다.
(각 기업별로 PM의 역할이 약간 상이합니다.)
상품개발의 흐름에서 보면 상품기획은 디자인 이전에 진행됩니다. 디자인은 개발해야 할 상품 컨셉을 구체적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품은 회사 비전을 달성하는 수단입니다.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팔리는 상품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회사 비전은 경영목표로 이어지고 다시 전략목표가 되고 최종적으로 만들어야 할 상품으로 구체화됩니다. 따라서 상품기획은 회사 비전 실행의 최전선으로 상품 개념을 구체적으로 만드는 행위입니다. 방향이 잘못되면 사내의 모든 리소스는 엉뚱한 쪽으로 흘러갑니다. 결과적으로 대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의 경우, 상품 하나가 회사의 운명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상품화 프로세스
상품기획 프로세스는 디자인, 연구개발, 마케팅 프로세스와 맞물려서 동시에 진행됩니다. 전체 프로세스는 PRM 확정과 승인, 개별 상품기획, 상품화 승인, 크게 3가지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PRM(Product Road Map) 확정과 승인
앞서 이야기했듯이 상품기획자의 일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것은 역시 PRM 확정입니다. 회사의 비전과 목표를 스냅샷 한 장으로 보여주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내외부의 모든 이해관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개별 상품기획자의 능력뿐만 아니라 상품기획 부서장의 소통 능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PRM 확정 작업은 중장기 기술 상품전략을 수립하고 동시에 사용자 트렌드 조사, 차기 연도 라인업에 활용 가능한 기술 파악을 위한 기술 워크숍 그리고 시장 동향 파악을 위한 마케팅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시장 기회는 이런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정의되고 그 위에 모델별 상품기획을 위한 PRM 승인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상품기획 단독이 아닌 전사의 이해관계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작업입니다.
2. 개별 상품 기획
PRM이 확정되고 전사 승인이 되면 이 PRM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상품기획이 진행됩니다. 흔히 말하는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시작되는 것입니다. 상품기획 중에 상품화 컨셉이 설정되면 이때부터 개별 상품에 대한 디자인이 같이 진행됩니다. 이때 상품기획자는 디자인 의뢰서를 디자인팀으로 송부합니다. 또한 컨셉에 맞는 기술을 파악하고, 기술 타당성 검토를 진행을 시작합니다. 선행으로 진행된 기술이 있다면 상품화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검토를 동시에 진행합니다.
3. 상품화 확정
상품 컨셉의 구체적인 형태인 `상품화 기획서(MRD, Market Requirement Description)`로 만들어지면 상품화 발의를 하고, 상품화 승인(DIA, Development Investment Approval)을 받으면 개발과 출시를 위한 CFT(Cross Functional Team)가 구성됩니다. 이 CFT 팀은 해당 상품을 위한 실무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때 CFT의 전체 팀장이 선정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임원급 팀장이 맡게 되지만 핵심 프리미엄 상품의 경우는 고위 임원이 직접 맡아서 추진합니다.
*프로세스는 영원불변일 수 없으며 이또한 시장상황 자사상황에 맞게 분기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상품기획 프로세스
마일스톤
예) 삼성전자
한 단계(Stage)를 완료하고 다음 단계의 진행을 위하여 완료하고자 하는 단계의 목표대비 실적과 다음 단계의 계획에 대하여 그 내용을 검토 또는 승인하는 것
삼성전자에서는 DIA-PIA-DVR-PVR-PRA-SRA 단계로 구성
DIA
(Development Investment Approval) 상품기획 확정승인
(상품개발) 마켓조사, 기술조사, 고객 조사를 통해 마켓의 요구사항을 평가하고, 개발계획 단계 활동계획을 승인
PIA
(Product Implementation Approval) 개발구현 승인 개발계획 수립 내용을 근거로 개발구현 단계로의 진행을 승인
DVR
(Design Verification Review) 설계자 주평가 설계수행 결과가 사전에 기획된 개발 목표에 부합하도록 제품이 구현(기능, 동작, 성능 등) 되었는지 개발 내부에서 평가하고 후속업무 수행 여부를 결정
PVR
(Product Validation Review) 개발검증 PIA/DVR의 미결항목을 개선 적용하여 기능, 동작, 성능, 신뢰성 Test를 통해 설계 품질이 충분히 확보되었는지를 검증한다. 시생산/판매 준비가 완료되었는가를 점검하고 후속업무 수행 여부를 결정
PRA
(Production Readiness Approval) 양산승인 시 생산품(PR Set)의 결과를 통해 과제의 목표(품질, 재료비, 일정, ROI 등) 달성 및 양산 가능 여부를 승인한
SRA
(Ship Release Approval) 출하승인 판매를 목적으로 초도양산품의 결과를 통해 출하여부를 승인
RTS (Ready To Sales) 모든 제품화 프로세스를 거친 후 시장 출하 대기 상태